맨위로가기

Making History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aking History》는 1984년 2월 아일랜드 레코드를 통해 발매된 린턴 퀘시 존슨의 음반이다. 영국 음반 차트에서 73위를 기록했으며, 데니스 보벨의 프로듀싱과 존슨의 가사가 조화를 이루어 호평을 받았다. 평론가들은 이 앨범을 레게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하며, 앨범의 깊이, 지적 능력 및 정교함을 높이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린턴 퀘시 존슨의 음반 - Bass Culture
    린턴 퀘시 존슨이 작사하고 유스가 프로듀싱한 《Bass Culture》은 믹스마스터 마이크를 비롯한 여러 음악가들이 참여했으며, 런던의 스튜디오에서 녹음 및 믹싱이 진행된 앨범이다.
  • 린턴 퀘시 존슨의 음반 - Dread Beat an' Blood
    린턴 퀘시 존슨의 데뷔 앨범 《Dread Beat an' Blood》는 1978년에 발매되었으며, 데니스 보벨이 프로듀싱하여 1970년대 후반 영국 흑인 청년들의 현실과 사회적 어려움을 가사로 담았다.
  • 1984년 음반 - Like a Virgin
    마돈나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라이크 어 처녀》는 나일 로저스의 프로듀싱으로 디스코, 팝, 록 장르를 혼합하여 제작되었으며, "라이크 어 처녀", "머티리얼 걸" 등의 히트곡으로 마돈나를 슈퍼스타 반열에 올린 앨범이다.
  • 1984년 음반 - The Unforgettable Fire
    《The Unforgettable Fire》는 U2의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앰비언트 음악과 실험적인 구성을 도입하여 음악적 변화를 시도했으며, 상업적 성공과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Pop (U2의 음반)
    1997년 발매된 U2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Pop》은 전자 음악과 샘플링을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은 최종 결과물에 실망했고, 앨범의 실험적인 시도는 U2의 음악적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Boy (음반)
    U2의 데뷔 음반 《소년 (Boy)》는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하고 10대의 사춘기 전환을 주제로 실험적인 사운드 효과를 특징으로 하며, "I Will Follow"와 같은 싱글을 통해 상업적인 성공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U2의 독창적인 사운드를 확립했다.
Making History
음반 정보
이름Making History
종류음반
아티스트린턴 퀘시 존슨
커버LKJMakingHistory.jpg
발매일1984년
녹음 장소Studio 80, 6-8 Emerson Street, Waterloo, London
장르덥 레게
재즈 블루스
길이33분 31초
레이블아일랜드
프로듀서데니스 보벨
이전 음반LKJ in Dub
이전 음반 발매일1980년
다음 음반LKJ Live in Concert with the Dub Band
다음 음반 발매일1985년
평가
올뮤직4.5/5
더 엔사이클로피디아 오브 파퓰러 뮤직4/5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4/5
사운즈5/5
스핀 얼터너티브 레코드 가이드8/10
더 빌리지 보이스A

2. 발매

''Making History''는 1984년 2월 아일랜드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영국 음반 차트에서 73위를 기록하였다.

'''음반'''

연도국가차트최고 순위참고
1984영국영국 음반 차트73[12]


3. 평가

《Making History》는 발매 당시부터 현재까지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꾸준히 높은 평가를 받아온 앨범이다. 특히 프로듀서 데니스 보벨의 혁신적인 사운드와 린턴 퀘시 존슨 특유의 사회 비판적인 가사 및 스포큰 워드 스타일이 조화를 이루어, 레게 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많은 평론가들은 보벨의 편곡이 존슨의 메시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음악적 완성도를 높였다고 평가했다. 시간이 흐른 뒤에도 이 앨범은 존슨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며, 일부에서는 후대 트립합과 같은 장르에 영향을 미친 선구적인 작품으로도 평가받는다.

3. 1. 발매 당시 평가

《Making History》는 발매 후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데니스 보벨의 기여에 대한 찬사가 많았다.

사운즈의 에드윈 파운시는 음반에 5점 만점에 5점을 주며 "내가 들어본 가장 중요한 레게 음악"이라고 극찬했다. 그는 린턴 퀘시 존슨의 음악과 보벨의 프로듀싱이 함께 발전하여 레게 음악을 한 단계 끌어올렸으며, 경기 침체와 레게의 상업화로 인한 불황 속에서 아스와드와 함께 유일한 긍정적 희망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빌리지 보이스로버트 크리스트가우 역시 A 등급을 부여하며 "데니스 보벨의 편곡은 린턴 퀘시 존슨의 자의식적 파트와가 가진 본질적 곡조를 새로운 차원의 음악성으로 이끌었다"고 묘사했다. 뉴욕 타임스의 로버트 팔머는 보벨이 가사의 억양에 따라 직접적인 멜로디를 만들어 시와 음악을 효과적으로 엮어냈다고 평가했다.[9]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의 찰스 샤르 머리는 음반의 일부가 지닌 언어의 깊이, 지적 능력, 정교함이 과거 작품을 훨씬 뛰어넘었다고 보았으며, 이는 3년간의 녹음 중단 기간 동안 존슨이 이룬 성장의 결과라고 분석했다.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는 이 음반을 1984년 올해의 음반 16위로 선정하기도 했다.[11] 가디언의 로빈 덴슬로 또한 음반의 고요한 분노, 가사의 질, 음악과 시가 혼합된 방식이 존슨의 이전 작업들과 잘 어우러진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보스턴 글로브는 《Making History》를 존슨의 음악적으로 가장 완성된 음반이라 평하며, 금관악기와 키보드 멜로디의 존재를 그 이유로 꼽았다. Trouser Presseng는 이 앨범이 "존슨과 보벨이 함께 만든 그 어떤 앨범만큼이나 생생하다"고 언급했다.[10]

반면, 레코드 미러의 사이먼 힐스는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하며 다소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가사에 대해 "의심할 여지 없이 심장에서 나왔지만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인지는 의심스럽다"고 평했으며, 앨범이 춤추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등의 적극적인 참여보다는 수동적인 청취를 요구한다고 지적했다.

3. 2. 발매 이후 평가

《Making History》는 발매 이후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시간이 지나면서도 꾸준히 좋은 평가를 유지하고 있다. 주요 매체들의 평점은 다음과 같다.

매체점수
대중음악 백과사전5점 만점에 4점[4]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5점 만점에 4점 (1992년)[5]
5점 만점에 3.5점 (2004년)[6]
스핀 얼터너티브 레코드 가이드10점 만점에 8점[7]
올뮤직5점 만점에 4.5점[8]



발매 당시, 많은 평론가들은 특히 프로듀서 데니스 보벨의 기여를 높이 평가했다. 사운즈의 에드윈 파운시는 이 음반에 만점을 주며 "내가 들어본 가장 중요한 레게 음악"이라고 극찬했다. 그는 린턴 퀘시 존슨의 음악과 보벨의 프로듀싱이 함께 발전하여 레게 음악을 한 단계 끌어올렸으며, 당시 레게 음악계의 불황 속에서 아스와드와 더불어 긍정적인 희망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3] 빌리지 보이스로버트 크리스트가우 역시 보벨의 편곡이 존슨 특유의 파트와 스타일을 새로운 음악적 차원으로 끌어올렸다고 호평하며 A 등급을 부여했다.[2] 뉴욕 타임스의 로버트 팔머는 보벨이 가사의 억양을 따라 멜로디를 만드는 방식을 통해 시와 음악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고 분석했다.[9]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 (NME)의 찰스 샤르 머리는 음반의 언어적 깊이, 지적 능력, 정교함이 이전 작품들을 뛰어넘었으며, 이는 3년간의 공백기 동안 존슨이 이룬 성장의 결과라고 보았다.[12] NME는 이 앨범을 1984년 "올해의 앨범" 16위로 선정하기도 했다.[11] 가디언의 로빈 덴슬로 역시 차분한 분노의 표현, 가사의 수준, 시와 음악의 조화 방식이 존슨의 이전 작업들과 잘 어우러진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보스턴 글로브는 《Making History》를 음악적으로 가장 완성된 존슨의 음반으로 꼽으며, 풍성한 금관악기와 키보드 멜로디를 그 이유로 들었다. 반면, 레코드 미러의 사이먼 힐스는 5점 만점에 3점을 주며 다소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가사가 진심에서 우러나왔는지는 의심스럽다고 평하며, 춤추거나 소통하기보다는 수동적으로 듣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1]

시간이 흐른 뒤에도 《Making History》는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올뮤직의 존 두건은 "만약 당신이 존슨의 음반을 한 장만 사야 한다면 바로 이 음반"이라며 극찬했다. 그는 활기찬 금관악기 소리와 강력한 리듬이 존슨의 강렬하고 서정적인 가사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고 평가했다.[8]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의 1992년 판에서 데브 셜록은 존슨의 음악적 자신감과 사회적 의식이 함께 발전했다며 별 4개로 평가하였지만,[5] 2004년 개정판에서는 평가가 다소 하향되어 별 3.5개를 받았다.[6] 트라우저 프레스는 이 앨범이 "존슨과 보벨이 함께 만든 어떤 앨범만큼이나 생생하다"고 평가했다.[10] 작가 R. J. 휘튼은 자신의 저서에서 《Making History》의 베이스라인과 스포큰 워드 스타일이 매시브 어택이나 트리키와 같은 후대 트립합 아티스트들의 가사 전달 방식에 영향을 미친 선구적인 작업이라고 분석했다.

4. 수록곡

모든 곡은 린턴 퀘시 존슨이 작사 및 작곡했다.


  • "Di Eagle an' di Bear" – 4:14
  • "Wat About di Working Claas?" – 5:12
  • "Di Great Insohreckshan" – 4:02
  • "Making History" – 4:19
  • "Reggae fi Radni" – 4:24
  • "Reggae fi Dada" – 4:50
  • "New Craas Massahkah" – 6:30

5. 참여진

크레딧은 음반의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했다.

5. 1. 덥 밴드

크레딧은 음반의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했다.

이름역할
데니스 보벨베이스, 프로듀싱, 믹싱
리처드 스티븐스드럼
존 크피아예기타
파제트 킹키보드
닉 스트레이커신시사이저
패트릭 테니예트럼펫
헨리 테니예트롬본
조프리 스캔틀베리퍼커션
토니 유타기타 퍼커션
에버럴드 포레스트기타 퍼커션


5. 2. 기술진


  • 데니스 보벨 – 녹음 엔지니어, 믹싱
  • 마틴 렉스 – 녹음 엔지니어
  • 고드윈 로기 – 오버더빙 & 믹싱 엔지니어
  • 스티븐 스트리트 – 오버더빙 & 믹싱 엔지니어
  • 존 덴트 – 마스터링
  • 피터 애쉬워스 – 사진
  • 브루노 틸리 – 아트 디렉션, 삽화

6. 차트

연도국가차트최고 순위참고
1984영국영국 음반 차트73[12]


참조

[1] 웹사이트 'Making History - Linton Kwesi Johnson | Songs, Reviews, Credits | AllMusic' https://www.allmusic[...]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MUZE 2006
[3] 서적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Random House 1992
[4] 간행물 Kwesi kuts 1984-02-25
[5] 서적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1995
[6] 웹사이트 Robert Christgau: Consumer Guide May 29, 1984 http://www.robertchr[...]
[7] 뉴스 Pop and Rock 1984-05-04
[8] 웹사이트 'Linton Kwesi Johnson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9] 뉴스 THE POP LIFE 1984-05-23
[10] 웹사이트 Linton Kwesi Johnson https://trouserpress[...] 2021-05-18
[11] 간행물 Albums and Tracks of the Year https://www.nme.com/[...] 2018-03-21
[12] 웹사이트 UK Official Charts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Company 2018-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